본문 바로가기
부드러운 심리학[Psychology]

거짓말 같은 실화,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 의 심리학적 접근

by 습아꼰 2024. 9. 8.
반응형

[[목차]]

캐치미 이프 유 캔 다시보기 심리적으로

실화를 바탕으로 한 범죄 스릴러 영화인 【캐치 미 이프 유 캔】은 2003년 1월에 개봉한 영화로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에 주연으로는 무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톰 행크스가 출연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입니다.

"크림통에 생쥐 두 마리가 빠졌다. 한 마리는 포기하여 바로 빠져 죽고 두 번째 생쥐는 포기하지 않고 열심히 크림을 휘저어 버터를 만든 뒤 빠져나왔다." 주인공의 아버지가 수상소감 중 이 대사를 하는데요. 명대사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합니다. '캐치미 이프 유 캔'은 범죄 스릴러물인 만큼 주인공의 범죄심리와 더불어 여러 심리들이 있었을 것입니다. 영화 속에서 눈에는 보이지 않았지만, 작용했던 심리들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심리학의 관점에서 영화 '캐치미 이프 유 캔'을 바라봤습니다. 재미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

목차
1) 어린 시절의 상처와 자아 정체성의 혼란
2) 도망과 정체성: 다양한 역할을 통한 자신 찾기
3) 프랭크와 칼의 관계: 권위와 아버지의 대체
4) 죄책감과 도덕성의 발달
5) 사회적 인정 욕구와 심리적 방어 기제

1) 어린 시절의 상처와 자아 정체성의 혼란

프랭크 애버그네일의 범죄 행각은 그의 어린 시절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영화 초반부에서 프랭크는 부모님의 불화와 이혼을 경험하며 깊은 상처를 받습니다. 심리학적으로 이는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과 관련이 있습니다. 프랭크는 부모님과의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하지 못한 채, 가족의 붕괴를 목격하게 됩니다. 특히 아버지를 동경하고 존경했던 프랭크는 그가 실패자처럼 여겨지는 모습을 보며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러한 가족 구조의 붕괴는 프랭크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큰 혼란을 초래합니다. 심리사회적 발달 이론(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에서 에릭 에릭슨은 청소년기가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합니다. 하지만 프랭크는 이 과정에서 실패하고,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혼란을 겪으며, 결국 거짓된 삶을 선택하게 됩니다. 그의 행동은 실질적인 범죄라기보다는, 자아 정체성을 찾으려는 무의식적 시도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도망과 정체성: 다양한 역할을 통한 자신 찾기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 속 한 장면, 조종사로 사칭한 프랭크와 승무원 지망생들이 거리를 걷고있다.

 

프랭크는 조종사, 의사, 변호사 등 다양한 직업을 사칭하며 끊임없이 자신의 정체성을 바꾸어 갑니다. 이는 단순한 범죄 행위로만 볼 수 없으며, 심리학적으로는 역할 혼란(Role Confusion)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프랭크는 자신이 누구인지 확신하지 못하며, 다양한 역할을 통해 자신이 바라는 이상적인 모습을 찾으려 합니다. 이는 또한 자기실현 욕구(Self-Actualization)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프랭크는 자신이 무언가 특별한 사람임을 증명하고 싶어 하며, 이를 위해 사회적 역할을 바꾸는 데에서 만족감을 찾습니다.

그러나 프랭크는 어떤 역할에서도 진정한 자신을 찾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도망 다닙니다. 이는 그의 내면에 자리한 공허함과 자아 정체성의 불안정성을 반영합니다. 자기 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인간은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랭크는 이 욕구들을 충족시키지 못해 자신을 계속해서 다른 사람으로 위장하며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그의 도망 행각은 단순한 범죄가 아닌, 자신의 존재 가치를 찾기 위한 몸부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프랭크와 칼의 관계: 권위와 아버지의 대체

FBI 요원 칼과 프랭크의 관계는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칼은 프랭크를 끊임없이 쫓아다니며 그를 체포하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은 서로에게 묘한 유대감을 느끼게 됩니다. 심리학적으로 볼 때, 칼은 프랭크에게 대리 아버지(Surrogate Father) 역할을 하게 됩니다. 프랭크는 자신의 진짜 아버지가 실패자라고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칼이라는 권위 있는 인물을 통해 자신이 필요로 했던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관계는 대리 부모 이론(Substitute Parent Theory)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칼은 처음에는 단순히 법을 집행하는 요원이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프랭크에게 도덕적 지침을 제공하는 역할로 발전하게 됩니다. 프랭크는 칼과의 대화를 통해 점차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얻게 되고, 결국 체포된 후에도 칼과의 관계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는 프랭크가 심리적으로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느꼈던 결핍을 칼을 통해 어느 정도 해결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죄책감과 도덕성의 발달

프랭크는 다양한 범죄를 저지르지만, 그 안에는 항상 죄책감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영화 후반부로 갈수록 프랭크는 자신이 저지른 행동들에 대한 무게를 느끼며 도덕적인 갈등을 겪게 됩니다. 이는 도덕 발달 이론(Moral Development Theory)에서 로렌스 콜버그가 제시한 단계 중 처벌과 복종(Punishment and Obedience)의 단계에서 사회적 계약(Social Contract)의 단계로의 전환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프랭크는 처음에는 자신의 범죄 행위가 큰 잘못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만 여겼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깨닫기 시작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됩니다. 프랭크는 결국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법의 심판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이는 그의 도덕적 성장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며, 프랭크는 범죄자가 아닌,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신을 다시금 찾게 됩니다.

5) 사회적 인정 욕구와 심리적 방어 기제

프랭크의 범죄 행위는 단순한 금전적 욕망을 넘어, 사회적 인정 욕구(Need for Social Approval)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프랭크는 항상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어 하며,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 중 하나인 보상(Compensation)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프랭크는 자신이 실제로는 무능력하다는 불안을 느끼며, 이를 숨기기 위해 더욱 성공한 사람처럼 보이려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방어 기제는 그의 불안정한 자아와 낮은 자존감에서 기인합니다. 프랭크는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의 역할을 바꾸고,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처럼 보이려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결국 그의 내면의 불안을 해결해 주지 못했고, 그는 끊임없이 도망 다니며 자신의 진정한 가치를 찾으려 했습니다. 영화는 프랭크가 범죄를 저지르는 과정에서 겪는 내면의 갈등을 심도 있게 그리며, 그가 궁극적으로는 자신의 존재 가치를 찾고자 했음을 보여줍니다.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의 주인공 프랭크 애버그네일의 심리적 여정은 어떠셨나요? 영화 속 주인공들의 심리를 이해한다면, 그 행동들, 대사들을 더 심도 있게, 때로는 다양한 방면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화도 보고 심리학도 공부하고 일석이조의 시간이었습니다.

 

반응형